목록분류 전체보기 (387)
부자회사원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CSxcO/btqDyEE0JYB/pNsVKo8gnKl745TFDHD7ZK/img.jpg)
안녕하세요 부자 회사원입니다. 제가 구글 애드센스를 달고 나니 광고가 이제부터 달리기 시작했는데 뮤직 카우라고 저작권에 투자하고 수익 내는 게 있더라고요(뮤직 코인에서 이름이 변경) 또 투자하면 부자 회사원 아니겠습니까 돈이 벌리는 곳이면 어디든지 또 조사해서 투자를 해봐야겠지요! 일단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1. 저작권 투자가 활성화 된다면 현재는 블루오션. 2. 내가 좋아하는 노래를 소유하고 수익도 내는 1석 2조 효과. 3. 엔간해서는 손해보지 않는 구조. 4. 상장폐지 없는 안정적 투자처. 5. 하지만 원금손실도 각오해야. 어떤 원리로 저작권에 투자되는 것일까? 창작자에게 저작권의 일부를 양도받아서 이것을 다시 유저들에게 입찰을 통하여 판매합니다. 사실 형태만 다를 뿐이지 기업에 투자하는 주식과 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YEuPn/btqDupOMiCj/vhOplaMjLAGgaqJWsXfSsk/img.jpg)
안녕하세요 부자 회사원입니다. 오늘은 4월 10일 레이달 리오의 TED 영상을 한번 정리하여 봤습니다. 일단 레이달 리오는 어떤 사람일까요? 이분이 운영하는 자금이 180조 원이 됩니다. 헷지펀드를 약 26년간 운영하였고요, 23년 동안 플러스 수익률을 기록했습니다. 특히 2008년, 2011년 금융위기 때 다른 곳은 다 마이너스 수익률을 기록할 때 이분의 펀드만 플러스 수익률을 기록하기도 했습니다. 그리고부자 순위 세계 27위의 거부이기도 합니다. (앞으로 내용은 레이달 리오의 영상 내용을 정리한 것입니다.) 현재 전 세계가 공황으로 빠져들었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단어 선택에 신중을 가하고 싶다. 공황이란 무서운 단어이다. 예전의 공황은 두 자리 수의 실업률을 기록하고, 경제가 약 10% 하락하는 규모..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AKeiq/btqDvh4MZNa/MpKhemmplaUfdt8EFACzlK/img.jpg)
안녕하세요 부자회사원입니다. 제가 그 어렵다는 구글 애드고시를 통과하였습니다. 게다가 한번에요! 고시에서는 동차합격이라고 하죠! ㅎㅎ 코로나 19 때문에 구글에서 애드센스 검토 자체를 하지 않는다는 이야기를 듣고 많이 걱정했는데 다행히 통과되어 너무 기분이 좋습니다. 저는 대략 4월 7일경 애드센스 신청을 하였고요. 4월 15일 승인 메일을 받았습니다. 대략 일주일 걸렸네요. 자~ 각설하고 그 팁을 공유해드리겠습니다. 1. 글자수 1,500자 이상. 너무나도 식상하시죠? 원래 당연한 것이 제일 어려운 법입니다. 저는 글 하나를 쓸 때 꼭 1500자가 넘어가도록 글을 썼고요. 사람인 글자수세기로 항상 체크하였습니다. 구글이나 네이버에 "글자수세기"라고 검색하시어 꼭 자신의 글의 글자수를 체크하시기 바랍니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ZLbJI/btqDurFrxFu/kHw80FiAxsCKD0Cmp6Thn0/img.jpg)
안녕하세요 부자 회사원입니다. 오늘은 삼성전자 주식을 외국인이 계속 더하고 있는 이유에 대하서 한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사실 전 삼성전자에 대해서 언급을 한번 드린 적이 있죠 뿌리 깊은 나무는 바람에 아니 뮐세. 그때 삼성전자의 기술력에 대해서 말씀드렸는데요. 요지는 삼성전자의 기술력이 조금 뒤처진다 라는 이야기였죠. 하지만 기술력이 뒤쳐지는 것과 장사를 잘하는 것은 또 다른 문제입니다. 기업이라는 전체 관점에서만 보았을 때 기술력이 뒤 쳐 저도 마케팅이나 다른 전략 등으로 보완이 가능하기 때문이죠. 예를 들면 삼성전자가 지금 반도체 시장에서 1위를 할 수 있었던 것도 독보적인 기술력을 바탕으로 한 것이 아닌, 기술력은 조금 뒤처지더라도 가성비, 생산성 등을 극대화하여 시장을 장악한 것처럼요. 하지만..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OMxTS/btqDj2ujPoq/fRJftWkgIH5lT86c3lNrJk/img.jpg)
안녕하세요 부자 회사원입니다. 오늘은 저번 시간에 이어 내일의 부의 저자 조던 김장섭 님이 말씀해주신 주식투자 성공의 공식을 한번 검증해보는 시간을 가져볼까 합니다. 조던 김장섭 님은 이 투자방법대로 하면 자신의 자산을 18~20년 후에 100배로 만들 수 있다고 하셨습니다. 그렇게 하려면 연간 수익률이 25~30%가 되어야 하며, 그것을 위해서는 세계 1위 나라의 1위 주식에 투자를 해야 한다고 하셨습니다. 그렇다면 이전 글에서 말씀드린 이 공식을 검증해보겠습니다. 2020년도 나스닥 2월 24일 최초 -3.71% 기록 그렇다면 만약 이날 애플의 주식을 그대로 보유하고 있었던 사람과 이날 애플의 주식을 전량 매도한 사람을 비교해보겠습니다. 2월 24일 애플 주식 가격 298달러, 50주 보유 가정, 전..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0WOB8/btqDjF60s9y/OWS0m7rZ5AwWWppix8vzrK/img.jpg)
안녕하세요 부자 회사원입니다. 오늘은 저번 이야기에 이어 김장섭 님의 주식투자 성공 공식에 대하여 집중적으로 다뤄볼까 합니다. 그럼 정리된 결과부터 말씀드리면 0. 미국의 시총 1등 주식을 투자하자 ▶ 1,2등 주식(시가총액 기준)의 순위가 바뀔 때 1등의 반을 팔아 2등과 1등을 동시에 갖고 간다. ▶ 1,2등 차이가 시가총액에서 10% 이상 났을 때 2등을 팔고 1등만 갖고 간다. ▶ 1,2등 차이가 시가총액에서 10%이내일 때에는 1,2등을 동시에 갖고 간다. ▶ 2등이 많이 쫓아와서 1,2등 차이가 10% 이내가 될 때에는 1,2등이 바뀌지 않는다면 1등만 보유한다. 굳이 1등 팔아서 2등 주식 살 필요 없다. 1. 나스닥 기준 -3%가 뜨면 보유주식을 전량 매도하고 22 거래일(한 달) 동안 T..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Uwmwt/btqDliJNfk4/wkBeaEJoGL5eGkUafQNVZK/img.jpg)
안녕하세요 부자 회사원입니다. 오늘은 제가 자주 보는 유튜브 신사임당 채널에 나온 조던 김장섭 님의 투자 공식에 대해서 이야기해 드리려 합니다. 일단 핵심부터 한마디로 말씀드리면 1등 주식에 투자하고 -3%가 뜨면 22 거래일(한달)을 기다려라! 라고 말씀드리면 딱 맞을 것 같네요 너무 단순하고 명쾌한 기준인데요. 아마 이코노미스트들이나 주식의 대가들은 이런 이야기를 하지 않을 것입니다. 왜냐하면 공식을 사람들이 알아버리면 본인들이 할 말이 없어지니까요. 이 공식은 펀드매니저나 워런 버핏도 쓸 수 없는 방법 아마 쓰고 싶어도 못쓰죠. 왜냐하면 -3%가 뜨면 전량 매도 후 22 거래일 후에 다시 매수 가 이 공식의 핵심인데, 본인들이 관리하고 있는 주식을 전량 매도했다가는 주식시장에 큰 충격을 주기 때문입..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rl6Bn/btqDf1ouriJ/DYSRsWfd0VSyb4cUP4Di20/img.jpg)
안녕하세요. 부자 회사원입니다. 어제 성과급 발표가 있었는데 최하등급을 받아서요.... 속이 상해서 술 한잔 해서 글을 쓰지 못했네요 ^^;; 성과급이야 잘 받는 날도 있고 못 받는 날고 있겠지만 최하등급이라니. 아하하하하 빨리 사표 던져버리고 경제적 자유를 얻는 날이 왔으면 합니다 ^^ 어쨌든 오늘 말씀드릴 이야기는 4월 위기설입니다. 일단 아래 자료를 참고해보시죠 처음 자료는 2008년 금융위기, 리먼브라더스 사태 직전 9월 3일부터 9월 12일까지 뉴스를 두 번째 자료는 2020년 오늘 4월 위기설로 검색한 화면을 캡처한 자료입니다. 2008년도에는 9월 25일부터 급락 시작하여 10월 28일 저점을 찍었습니다. 2008년도에도 10월에 저점을 찍기 전부터 위기설은 돌고 있었고 9월 위기설에 대하여..